생활정보/* 피부 미용 건강 다이어트

민들레의 (국화과)효능

오월의장미 장미 2009. 4. 21. 14:41

 

             * 집마당에 엄청 많이 핀 민들래..

 

민들레 (국화과)

 

민들레는 현재 재래종을 대신하여 서양 민들레가 전국에 퍼져 있다.

재래종 민들레는 장일생으로 봄부터 여름의 낮이 긴 때만 개화하는데 서양민들레는 일년 내내 꽃이 핀다.

껄쭉껄쭉한 가늘고 긴 잎이 뿌리 밑에서 방사형으로 붙어 일어나 퍼지는 다년초이며 총포의 바깥잎이 봉오리 때부터 뒤로 젖혀져 있는 것이 다른종류와의 좋은 구별점이다.

 

우리 나라 각처의 들에 흔히 나는 다년초. 줄기는 없으며, 잎은 밑둥치에서 나오고, 옆으로 퍼지며, 피침형. 잎몸은 깊게 갈라지고 갈래는 6-8쌍,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털이 조금 나 있음.

꽃은 두상화서, 잎과 같은 길이의 꽃줄기 위에 붙으며, 꽃줄기는 처음에 흰털로 덮이고, 나중에 없어지며, 바로 꽃 밑에만 붙음. 설상화는 노란색, 가장자리에 털이 있음. 열매는 수과, 갈색, 긴 타원형. 위쪽에 뾰족한 돌기가 있다.

개화기: 4-5월  결실기: 7-8월  종류로는  민들레 흰민들래, 서양민들래

등이 있다

우리의 토종민들레는 키가 작고 봄에만 꽃을 피운답니다.

 

[맛있게 먹는 법]

 

줄기가 부러지면 젖빛 즙이 나온다. 이 즙은 매우 쓰기 때문에 가축들이 잘 먹지 않는다. 민들레를 고채(苦菜)라고도 부르는데, 매우 쓴 즙을 지녔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며, 삶아서 우려내어 무쳐먹는다.

위궤양에는 민들레의 새로 난 잎을 씹어먹기도 하며, 뱀에 물렸을 때 뿌리를 다져서 바르기도 한다.

꽃만을 따서 그늘에 말렸다가 피가 부족하거나, 결핵에 걸렸을 때 먹기도 한다.

위.십이지장궤양 치료, 체질개선, 설사에 꽃이피기전에 4~5월경에 민들레 뿌리를 캐서 말렸다가 가루내어 먹는다.

먹는부분은 풀 전체를 먹을수 있고 1년 내내 이용된다. 그늘에서 자란 연한 것을 골라 채취한다.

 

1) 튀김 - 잎과 꽃을 쓰며 잎은 하나하나 잘펴서 이면에 엷게 반죽을 묻혀 아삭아삭할 정도로 튀긴다. 꽃은 꽃잎이 곱게 보이게 주의한다.

2) 기름 지짐 - 연한 잎을 모아 소금 한 줌 넣고 데쳐, 물에 헹구고 물기를 없앤다. 적당한 크기로 썰어 기름을 지져 간장으로 맛을 낸다.

3)흰 무침 – 두부의 물을 빼고 다시 행주로 짜서 깨.간장.소금.미림을 넣어 맛을 내 둔다. 살짝 데쳐 떫은 맛을 뺀 민들레를 이것으로 무친다.

4)된장 무침 - 잎과 줄기를 된장에 절인다. 이상하게도 쓴맛이 없어진다.

5)꽃의 양념장 무침 - 꽃잎을 뜯어 살짝 데쳐 초.소금.꿀.간장으로 무친다.

6)조림 - 뿌리를 쓴다. 우엉조림과 같이 얇게 혹은 잘게 잘라 기름으로 잘

 조려 간장으로 조미한다. 고춧가루를 쳐서 매콤하게 하면 맛이 있다.

 

[약으로서의 사용법]

 

뿌리는 11월부터 다음해 2월경까지의 것, 잎.줄기는 2월부터 3월경의 것을 각각 채취하여 일광으로 건조시켜 사용한다.

 

1)최유 - 뿌리 10g 별꽃 5g 율무 5g을 혼합하여 2.5컵의 물에 넣어 약한

불로 약 반이 될 때까지 달이고 이것을 1일량으로 하여 식전

또는 식후에 나누어 먹는다.

2)사마귀 - 잎.줄기 등에서 흰 즙을 몇 번이라도 되풀이해 환부에 바른다.

3)부종 - 뿌리와 잎을 같이 하여 20~40g을 하루량으로 하고 1)과같이 달여서 먹는다.

4)위장병 - 변비가 되기 쉬운 소화불량에 잘 듣는다. 뿌리 15g 또는 잎30g

을 하루량으로 하여 10과 같이 달여서 먹는다.

5)황달.간장병.치질.장염.부인병.강장 - 잎.줄기.뿌리의 전초 15g을 하루량

으로 하여 10과 같이 달여서 먹는다.

 

* 민들레 차 만드는 법 *

뿌리를 잘게 썰어 햇볕에 잘 말려 프라이팬으로 충분히 볶는다. 주전자에 넣어 다려서 꿀을 넣어 마신다. 몸에 매우 좋은 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