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 피부 미용 건강 다이어트

천식치료 이렇게 해보세요~^^*

오월의장미 장미 2009. 1. 19. 19:35

천 식(喘息, 哮喘)

[ 원인과 증상 ]
  민감성 체질을 가진 사람이 발생하기 쉽다
  ① 외부의 나쁜 기운이 피부의 땀구멍으로 침입하여 기의 흐름이 막혔을 때
  ② 감정이 지나쳐서 그로 인하여 오장육부를 상했을 때
  ③ 어떠한 이유로 음식을 먹지 못하거나 지나치게 과로했을 때 발생한다. 
  전조증상 없이 발작적으로 호흡곤란을 일으키고 숨쉬기가 몹시 고통스럽다. 숨을 들이쉴 때는 씨근거리
  고 내쉴 때는 피리소리 같다. 가래가 있는 사람도 있고 없는 사람도 있다. 겨울철만 되면 발작 발병하
  는 사람도 있고, 여름철에 발병하는 사람도 있으며, 보통 40대 이후에 많으나 소아 또는 청소년층에도
  발생한다. 천식엔 기관지 천식과 심장성 천식이 있는데 기관지천식은 숨을 들이 마실때 보다 내쉴때 더
  힘들어 하면서 바람소리가 나는 반면, 심장성 천식은 야간에 특히 잠을 자다가 갑자기 호흡곤란을 일으
  키고 숨을 들이 마실 때나 내쉴 때나 고통을 느낀다.

 

[ 치    료 ]
  ㅇ 모과  1개, 무우 반개, 호도알 10개, 대추 1홉, 귤껍질 10개, 마른 해삼 10마리, 홍당무 2개, 생강
     1개를 함께 달여 매 식후 30분에 1컵씩 장복한다.
  ㅇ 북어 1마리를 머리와 꼬리를 떼 내고 가시를 추려 낸후 강엿 10g,배 1개의 즙과 생강 3쪽을 함께 찧
     어 북어 뱃속에 넣고 짚으로 잘 묶은뒤 진흙으로 발라 불에 익힌 뒤 식후 1시간에 먹고 땀을 낸다 -
     약 1∼3주간(달여 먹어도 무방)
  ㅇ 큰 배 1개를 꼭지부분을 떼어 내어 뚜껑을 만들고, 속의 씨부분을 파낸다음 패모 12g과 속껍질 벗긴
     살구씨 8g을 꿀과 함께 배속에 넣고 뚜껑을 닫은 다음 사발에 담아 찜 통에 1시간 가량 찐다음 사발
     에 개어서 중환자는 1개를 경환자는 1/2, 소아는 1수저씩 먹는다 - 호흡기계, 양기 보강
  ㅇ 호박의 뚜껑을 내 씨를 파내고 꿀 100g 을 넣어 뚜껑을 덮은뒤 푹쪄서 호박의 껍질은 벗겨내고 속살
     을 함께 혼합하여 1일 2∼3회 적당량씩 먹는다.
  ㅇ 수세미나 오이넝쿨을 땅에서 1m 정도의 마디를 잘라 흐르는 즙을 받아 두고, 매 식후 30분에 1홉씩
     먹거나 줄기즙을 반컵∼1컵씩 마신다.
  ㅇ 상백피, 금은화, 홍화, 행인 각 300g과 갱엿 600g, 배와 모과 각 1개, 은행알 3홉, 생길경 600g, 미
     나리 한속, 소고기 100g을 진하게 달여 매 식후 30분에 2∼3잔씩 마신다 - 감기. 기관지염
  ㅇ 호도살을 찧어 같은 양의 꿀과 혼합, 중탕하여 차처럼 마신다.
  ㅇ 검은콩을 달인 후 콩은 건져 내고 설탕을 넣고 다시 끓인 후 냉장, 차처럼 마신다.
  ㅇ 나무딸기나 넝쿨딸기 뿌리를 달여 차처럼 마신다 - 정력증진
  ㅇ 살구씨를 소아 3개, 어른 5개 정도를 속껍질은 벗기고 찧어 따끈한 물 1컵에 꿀을 타서 마신다.
  ㅇ 백합뿌리를 말려 1일 1개씩  달이거나 찌거나 분말하여 꿀에 타서 먹거나 머위의 꽃봉오리(款冬花)
     와 같은 양으로 분말 매 식후 30분에 8g씩 생강차로 마신다 - 정력 증진, 해수
  ㅇ 마늘 300g을 짓찧어 꿀 600g에 3일간 재워 두었다가 매 식후 30분에 1수저씩 먹는다.
  ㅇ 마늘 450g을 찧어 1ℓ의 끓는 물에 보온한 후 찌꺼기는 짜서 버리고 1㎏의 흑설탕을 재워 두고 기침
     이 날 때마다 1수저씩 먹는다.
  ㅇ 알로에를 가시는 떼어내고 즙내어 1잔씩 마시거나 적당히 잘라 꿀을 찍어 볶아서 매 식후 30분에 먹
     거나, 뽕나무 껍질을 진하게 달여 매 식후 30분에 1컵씩 마신다.
  ㅇ 머위 나물(款冬花)을 된장국에 넣어 끓이거나 장아찌로 만들어 식사시 자주 먹는다.  
  ㅇ 살구씨 3되를 1일 밤 물에 담가 속껍질을 벗겨 내고 말려 노랗게 볶아 분말, 꿀 1되에 찧어 냉장 후
     매 식후 30분에 1수저씩 먹거나, 바위 옷을 달여 차처럼 마신다.
  ㅇ 질경이(車前草)와 쑥 2:1에 감초 약간 넣고 달여 차처럼 마신다.
  ㅇ 오징어뼈를 분말하여 어른 20g, 어린이 8g씩 매 식후 30분에 먹는다.
  ㅇ 달팽이를 진흙에 싸서 불에 구워 먹거나 소금물에 담갔다 꺼내어 양념하여 볶거나 국끓여 먹는다 -
     스테미너 식
  ㅇ 달개비를 그늘에 말려 1회 5∼6g씩 달여 꿀을 타서 매 식후 30분에 먹는다.
  ㅇ 배즙 1그릇에 마황 5g을 넣고 달여 수시로 마시거나, 부추 즙을 매 식후 30분에 1컵씩 마신다.
  ㅇ 잉어를 통째로 질냄비에 넣고 밀폐하여 완전히 태워 분말, 매식후 30분에 4g씩 먹는다.
  ㅇ 오소리 기름을 내어 조금씩 먹는다. 오소리고기는 허약자를 보익한다.
  ㅇ 가래가 겸하면 오미자와 백반을 같은 양으로 분말한 것을 구운 돼지허파를 썰어 찍어 식간에 백비탕
     (맹물을 끓인 것)으로 먹는다.
  ㅇ 발작시에는 깨무릇(半夏) 분말한 것 4g에 생강즙으로 개어 먹고 데지 않을 정도의 뜨거운 물을 세수
     대야 담아 20분 정도씩 발을 담그거나 마황 8g과 감초 20g을 2홉의 물에 반으로 달여 1컵씩 마신다.
  ㅇ 허약한 사람은 호도, 은행, 밤, 생강, 대추를 같은 양으로 달여 차처럼 마신다.
  ㅇ 오래된 천식엔 파부초의 뿌리(白部根) 1.2㎏를 즙내어 엿처럼 달인 후 매 식후 30분에 4g씩 먹는다.
  ㅇ 기관지천식엔 대나무 푸른껍질(竹茹)을 달여 매 식후 1컵씩 마신다 - 오줌싸개
  ㅇ 심장성 천식에는 계란기름을 먹는다 - 용어해설 참조
  ㅇ 소아 천식엔 목화송이 껍질을 삶아 감주 만들어 1주일 정도 매 식후 30분에 1컵씩 먹거나 알로에나
     선인장을 가시는 떼어 내고 적당히 잘라 꿀에 재워 1개월 후 먹거나 말려 과자로 만들어 먹는다.
  ㅇ 배가 붓는데는 산두근(山豆根)을 분말하여 매 식후 30분에 4g씩 끓는 물에 개어 먹는다.
  ㅇ 노인성은 호두, 살구씨(껍질 벗긴 것), 생강 각 100g을 찧어 꿀로 콩크기로 만들어 5∼6환씩 취침전
     에 먹는다.
  ㅇ 담이 없는 노인성엔 당근씨(蘿蔔子)를 볶아 분말하여 꿀에 재어두고 매 식후 30분에 1티스푼씩 따뜻
     한 물로 먹거나 알로에나 선인장의 가시와 껍질은 벗겨내고 손바닥의 반만큼씩 꿀을 바르고 볶아 먹
     는데 그치면 중단한다.
  ㅇ 식이 요법
    ① 방풍 소라찜
       소라 5개는 살아 있는 것으로 살이 밖으로 나오지 않고 묵직한 것을 골라 솔로 깨끗이 씻어 삶아
       살은 도툼하게 썬다. 은행알 15개는 끓는 소금물에 살짝 삶아 속 껍질을 벗기고 미나리 반단은 뿌
       리와 잎은 버리고 줄기만 10㎝ 길이로 썬다. 방풍, 길경, 패모 각 15g을 물 2컵에 반으로 달여 즙
       을 짜내어 소라와 은행을 넣고 청주와 다진마늘 1수저, 생강 1톨의 즙을 고루 섞어 찜하여 먹는다
       -  기침, 가래
    ② 파대추 수프 - 기침감기 참조
    ③ 토끼 황기탕
       산토끼 1마리 (음력 4월에서 8월 사이엔 쓰지 않으나 집에서 사료로 사육한 것은 사용함)에 은행
       호도 각 2홉, 황기 300g을 다져 넣고 함께 고아 식간에 3일로 나누어 먹고 땀을 낸다.
    ④ 복숭아 살구죽
       복숭아와 살구씨 속껍질을 벗기고 찧어 같은 양의 쌀로 죽을 쑤어 자주 먹는다 - 해수
    ⑤ 닭 정향찜 - 만성기관지염 참조
    ⑥ 호도죽 - 만성기관지염 참조
    ⑦ 닭 은행조림
       암탉 1마리를 살짝 삶아 냄새를 없애고 더운 물에 담가 껍질 벗긴 은행 60g과 끓여 먹는다 - 폐결
       핵 보조치료, 유뇨, 다뇨
    ⑧ 토끼 상백피 조림
       토끼 1마리와 상백피 30g을 적당히 잘라 끓여 소금으로 간하여 먹는다 - 부증, 배뇨곤란, 당뇨로
       인한 갈증
    ⑨ 자라 패모찜
       자라 1마리(약 500g)를 뒤집어서 목을 따 피를 내고 발가락 끝과 등딱지를 벗기고 내장을 제거한
       다음 적당히 잘라 살짝 삶고, 육수 1㎏과 패모 5g, 파와 생강 각 5g, 소금, 청주, 산초 열매를 적
       당히 넣고 1시간쯤 쪄서 파와 생강은 버리고 먹는다 - 미열, 다한증
    ⑩ 완두 호도조림
       완두콩 750g을 40분 정도 끓여 고운 체로 받쳐 놓는다. 따뜻한 물에 담가 껍질 벗긴 호도알 60g은
       식물성 기름에 튀겨 놓는다. 연근가루 60g(작게 잘라 쪄서 찧어도 된다)은 물 100g에 풀처럼 끓여
       놓고, 냄비에 물 500g을 부어 완두콩 죽과 연근죽, 설탕 240g을 넣고 젓가락으로 저으면서 끓이다
       가 끓어오르면 호도튀김을 넣고 걸쭉하게 다시 끓여 먹는다 - 빈혈, 변비, 허약체질, 기억력 감퇴

해수기운을 함께 치료해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위의 자료중 손쉬운 것을 택하여 경험하시기 바랍니다. 개인별로 차이가 있으니 치료하면서 바꾸ㅣ주세요. 연세가 그리 많지 않으신다면 치료 가능합니다. 다른 자료는 카페http://cafe.daum.net/kcgn1로 방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