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이 가득한 집/풍수인테리어

양택이야기 (좋은글은 길어요!)

오월의장미 장미 2008. 3. 12. 17:08

양택이야기 (좋은글은 길어요)

양택(陽宅)의 효력은 강하고 빠르다

풍수학은 음택(陰宅)과 양택(陽宅)으로 나뉘는데, 음택은 죽은 사람을 매장하는 분묘(墳墓)를 가리키고, 양택은 산 사람의 주거지 즉 주택과 건물 등을 가리킨다. 음택 풍수와 양택 풍수의 원리는 기본적으로 같지만, 죽은 자의 묘와 산 자의 주거지는 그 목적과 음양(陰陽)의 성질이 다르므로 명확하게 구별된다. 양택풍수가 다루는 범위는 넓어서 내적으로는 거주공간을, 외적으로는 산, 물, 도로, 나무, 건물, 구조물 등 주변 일체의 환경을 포함한다.  

현대 풍수 이론의 주요한 흐름은 고전을 사회 환경의 변화와 현대 건축기술의 발달을 고려하여 새로운 시대적 조류에 맞게 재해석을 시도하고 적용하려고 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주로 대만이나 홍콩, 일본, 서구의 학자들에 의해서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데, 음택보다는 양택 분야에서의 활동이 두드러진 추세. 반면 우리나라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술수(術數) 중심의 음택 분야에 편중되어 있고 양택 분야는 거의 불모지대에 가까운 편으로 서구의 언어로 재편된 양택풍수 이론을 무분별하게 수용하는 실정이다.

양택은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길흉의 변화가 신속하게 나타나고 영향력이 크다고 볼 수 있으며 음택은 감응(感應)을 받는 시간과 길흉의 영향이 장기간에 걸쳐 나타난다. 양택의 영향력은 거주공간과 거주인에 국한되지만 음택은 거리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온 가족의 길흉사와 연관된다. 양택은 당사자가 그 효능을 금방 실감할 수 있으므로 실증(實證)이 용이한 반면, 음택은 효능을 광범위하게 접근해야 하므로 입증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다만 동양술법의 기저는 절대 길흉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어떠한 조건을 더하는가에 따라 길흉이 교차한다. 또한 모든 사물은 변화하지 않는 것이 없으므로 영고성쇠(榮枯盛衰)를 피할 수 없다. 따라서 제시된 ‘풍수처방’(feng shui cure)에 따랐음에도 상응하는 효과를 보지 못했다면 선천 명운(命運)을 살려볼 필요가 있다. 이는 팔자술(八字術)의 실력자에 의해서만 가능하므로, 이 판단법을 구사할 수 있는 위인은 매우 드물다고 할 수 있다. 팔자술을 활용하는 이들은 많으나 성패(成敗)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고급술사는 만나기가 쉽지 않다.

독자들. 이제 풍수의 대강을 숙지한 만큼, 이제부터는 “양택풍수의 실전(實戰)”에 이르는 보다 업그레이드된 단계로 전진해보자. 중요한 내용은 의도적으로 몇 차례 중복시켜둔 바, 자연스럽게 읽다보면 방위풍수의 핵심을 습득할 수 있을 것이다.

대문의 방향에 따라 주택(宅)은 8가지로 구분 된다

주택의 종류를 나누는 택괘(宅卦)의 산출은 양택의 좌(坐)한 방위에 따라서 구분된다. 좌(坐)란 대문이 향(向)하는 정반대쪽의 방위를 말한다. 택괘(宅卦) 또한 건(乾), 태(兌), 리(離), 진(震), 손(巽), 감(坎), 간(艮), 곤(坤)의 8종류로 나누어지며 이는 다시 동사택(東四宅)과 서사택(西四宅)으로 양분된다. 택괘가 진(震), 감(坎), 손(巽), 리(離)에 해당되면 ‘동사택’이 되고, 곤(坤), 건(乾), 간(艮), 태(兌)에 해당되면 ‘서사택’이 된다.

건물의 좌향(坐向)을 추정하여 택괘(宅卦)를 정하는 데 풍수에서 집의 좌향을 정할 때는 반드시 대문을 근거로 삼는다. 일반인들은 창문이 남쪽으로 나면 남향집이라 여기나, 실은 대문이 남쪽으로 향해야 진정한 남향집이 된다. 좌향(坐向)은 반드시 180도의 직선이 되는 바, 좌북(坐北)이 되면 반드시 향남(向南)이 된다. 이때 좌(坐)한 북쪽은 팔괘 방위로 감(坎)이 되므로 대문이 남쪽으로 난 건물이나 주택은 감택(坎宅)이 된다.

동4택

진택(震宅) : 건물이 정동방에 앉아 있는 경우로 대문이 위치한 방향은 정서향이 된다.
손택(巽宅) : 건물이 동남방에 앉아 있는 경우로 대문이 위치한 방향은 서북향이 된다.
감택(坎宅) : 건물이 정북방에 앉아 있는 경우로 대문이 위치한 방향은 정남향이 된다.
리택(離宅) : 건물이 정남방에 앉아 있는 경우로 대문이 위치한 방향은 정북향이 된다.

서4택

건택(乾宅) : 건물이 서북방에 앉아 있는 경우로 대문이 위치한 방향은 동남향이 된다.  
태택(兌宅) : 건물이 정서방에 앉아 있는 경우로 대문이 위치한 방향은 정동향이 된다.
간택(艮宅) : 건물이 동북방에 앉아 있는 경우로 대문이 위치한 방향은 서남향이 된다.  
곤택(坤宅) : 건물이 서남방에 앉아 있는 경우로 대문이 위치한 방향은 동북향이 된다.

사람(命)과 주택(宅)이 맞아야 길하다

청대 약관도인의 ‘팔택명경(八宅明鏡)’을 보면  다음과 같은 원시(原詩)의 구절을 찾아볼 수 있다.

人之生命不同, 宅之宜忌各異, 故祖孫或盛或衰, 父子或興或廢, 夫婦面前後災祥不同, 兄弟而孟仲休咎逈別, 或居此多坎坷, 或居彼得安寧, 實皆命之合與不合有以致此也

사람의 생명이 같지 않고 집의 좋고 나쁨이 각기 다르다. 그러므로 조상과 후손이 번성하기도 하고 쇠퇴하기도 하며 부자가 흥하기도 하고 망하기도 한다. 부부가 앞뒤에서 재난과 상서로움이 서로 같지 않고 형제간에도 화복이 판이하다. 혹 이 집에 거하면 어려움이 많고 혹 저 집에 거하면 편안하니 실로 이 모두가 명과 (택:宅)의 합하고 합하지 못한 데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이치라 할 수 있다

이 말은 사람의 타고난 명(본명괘:本命卦)과 주택(宅)이 동류이면 서로 어울려서 길하고 명과 택이 동류가 아니면 서로 어울리지 않아 불길하다는 의미다. 이것은 “택명상배(宅命相配)의 원칙”이다. 가령 본명괘가 리명(離命)이면 택괘가 리택(離宅)인 주택과 일단 잘 매치될 것이다. 리명(離命)은 동사명이며 리택(離宅)은 동사택이 된다. 만일 감명(坎命)의 사람이 리택(離宅)에 거주한다 해도 동사명이 동사택에 거주하는 것으로 길한 조합이라 할 수 있다. 반면 서사명인 건명(乾命)이 동사택의 리택(離宅)에 거주한다면 일단 불리한 배합이라 할 수 있다.

“명괘와 택괘는 서로 동류라야 길하다” 이 말은 한마디로 동사명인 사람은 동사택에 거주하고 서사명인 사람은 서사택에 거주하여야 길하다는 뜻이다.

특히 명심할 바는 ‘양택 3요’인 문주조(門主灶)가 동서사택(東西舍宅)안에서 하나의 기(氣)로 구성되어야 배합사택(配合舍宅)의 길택(吉宅)이 된다는 점이다. 이는 대문과 안방, 주방의 3요소가 동, 서, 남, 북, 동북, 동남, 서남, 서북의 8방위 중 동(東), 동남(東南), 남(南), 북(北)에 배치된 동사택(東四宅)이거나, 아니면 서(西), 서남(西南), 서북(西北), 동북(東北)이 배치된 서사택(西四宅)으로 이루어져야만 동기(東氣)와 서기(西氣)중의 하나로 구분된 길한 사택임을 의미한다.

가옥(家屋)이 구성되는 데는 문주조, 측, 정원(門主灶, 厠, 庭園)이 기본요소가 된다. 그 중 가장 중요한 곳이 문주조의 양택 3요. 문(門)은 대문 또는 건물의 출입구를 통틀어 칭한다. 주(主)는 주된 건물로서 높고 넓어 왕성한 곳을 기두(起頭)로 정한다. 아파트나 가옥의 내부에서는 안방이 주(主)가 된다. 조(灶)는 주방으로 음식을 만들어 가족의 건강을 책임지는 중요한 곳이다. 측(厠)은 화장실을 말하는데 과거와 달리 현대에는 가옥에서 멀수록 길(吉)하는 원칙이 적용되지 않는 추세다. 건물에서 문주조(門主灶)는 길방의 영역에 배치하고, 욕실이나 헛간, 창고 등은 길방 이외의 영역에 놓일 경우 복가(福家) 배치가 된다.

하지만 이미 거주하고 있는 주택이나 건물의 택괘가 명괘와 맞지 않을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가족 간의 명괘가 각자 다르다. 이러한 경우에는 “가옥(家屋) 내 다섯 종류의 택기(宅氣)에 의한 판단법”을 적용해보아야 한다. 이 방법은 풍수에서 매우 발전된 견해이자 정교한 방위 풍수의 실행법이라 할 수 있다.

다섯 가지의 택기(宅氣)로 길흉을 판단한다

주택이나 상가, 사무실 등은 그 자체의 방향이나 건물 내의 방위에 따른 길흉의 기운(氣運) 영역이 정해진다. 이 같은 택기(宅氣)는 왕기(旺氣), 생기(生氣), 설기(洩氣), 사기(死氣), 살기(殺氣)의 다섯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판단법은 결국 출입구의 방위를 기준으로 길흉의 영역을 정하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것은 팔택파(八宅派)의 판단법으로 침대나 전자 제품, 창, 조명, 수조 등의 위치를 정하는 중요한 척도가 되는 이론으로 왕기나 생기의 영역이 좋은 방위가 되는데, 진정한 길방이란 본명괘에 따른 길방과 택기(宅氣)의 길방이 겹치는 영역을 의미한다.

길방에 해당하는 장소에는 현관, 침실, 마루, 자녀 방, 서재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흉방의 영역에는 주방, 욕실, 화장실, 수납고 등이 자리 잡는 게 바람직하다. 이 중 사기(死氣)는 재물의 영역인 재방(財方)에 해당하므로 그 사용법에 따라 길할 수도 흉할 수도 있다. 살기(殺氣)의 영역에는 침실이나 전자 제품을 두어서는 안된다.

☐ 다섯 가지 택기(택기오종:宅氣五種)

1. 왕기(旺氣)
가장 왕성한 땅의 기운이 미치는 장소로 건강, 재운, 지위, 사회적 평가, 재능의 발휘와 관련하여 빠른 효과가 있다. 대길한 영역이다.

2. 생기(生氣)
장래에 왕성한 땅의 기운이 미칠 장소로 건강, 재운, 자식, 배우자와 관련하여 은근한 효과가 있다. 길한 영역이다.

3. 설기(洩氣)
길흉의 경계에 해당하는 장소로 운기 면에서 현상 유지는 가능하나 발전성은 부족하다. 평범하고 단조로운 상태를 암시한다.

4. 사기(死氣)
활기가 부족하고 소극적인 땅의 기운이 미치는 장소로 건강, 금전, 업무 면에서 고생이 많다. 그러나 ‘재방’의 영역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좋은 효과를 볼 수도 있다. 흉한 영역이다.

5. 살기(殺氣)
태극의 기를 해치는 땅의 기운이 미치는 장소로 건강, 금전, 재능, 대인 관계 등 어느 면에서나 불리하고 정신과 물질 면에서도 나쁜 결과를 초래한다. 대흉한 영역이다.

☐ 여덟 가지 택괘(宅卦)에 의한 다섯 종류의 택기  

1. 진택(震宅) : 현관 입구가 서방 45도 내로 향해 있다.
서북쪽이 왕기가 되고 동쪽이 생기가 된다. 서사명은 서북쪽, 동사명은 동쪽이 길방이 된다. 동북쪽과 남쪽은 살기이므로 침실이나 전자 제품을 두지 않는다.
  
2. 손택(巽宅) : 현관 입구가 서북방 45도 내로 향해 있다.
동남쪽이 왕기가 되고 서남쪽이 생기가 된다. 동사명은 동남쪽, 서사명은 서남쪽이 길방이 된다. 동북쪽과 서쪽이 살기이므로 중요 사물이나 전자 제품을 두지 않는다.  

3. 감택(坎宅) : 현관 입구가 남방 45도 내로 향해 있다.
북쪽, 서남쪽이 생기가 된다. 동사명은 북쪽, 서사명은 서남쪽이 길방이 된다. 동쪽, 남쪽, 서쪽이 살기이므로 침실이나 전자 제품을 두지 않는다.  

4. 리택(離宅) : 현관 입구가 북방 45도 내로 향해 있다.  
남쪽, 동북쪽이 생기가 된다. 동사명은 남쪽, 서사명은 동북쪽이 길방이 된다. 서북쪽이 살기이므로 침실이나 전자 제품을 두지 않는다.  

5. 건택(乾宅) : 현관 입구가 동남방 45도 내로 향해 있다.
서북쪽이 왕기가 된다. 북쪽, 동남쪽, 서쪽이 생기가 되므로 동사명은 북쪽과 동남쪽, 서사명은 서북쪽과 서쪽이 길방이 된다. 동북쪽이 살기이므로 침실이나 전자 제품을 두지 않는다.

6. 태택(兌宅) : 현관 입구가 동방 45도 내로 향해 있다.
동남쪽이 왕기가 된다. 동쪽, 남쪽, 서북쪽이 생기가 되므로 동사명은 동남쪽, 동쪽과 남쪽, 서사명은 서북쪽이 길방이 된다. 서쪽이 살기이므로 침실이나 전자 제품을 두지 않는다.

7. 간택(艮宅) : 현관 입구가 서남방 45도 내로 향해 있다.

동북쪽, 서남쪽이 왕기가 된다. 서북쪽이 생기가 되므로 서사명에 유리하고 동사명은 길방이 없다. 북쪽, 남쪽이 살기이므로 침실이나 전자 제품을 두지 않는다.

8. 곤택(坤宅) : 현관 입구가 동북방 45도 내에 향해 있다.
동북쪽, 서남쪽이 왕기가 된다. 동쪽이 생기가 되므로 서사명은 동북쪽과 서남쪽, 동사명은 동쪽이 길방이 된다. 서북쪽과 서쪽이 살기이므로 침실이나 전자 제품은 두지 않는다.

방위(方位)풍수로  길흉을 판단한다

양택 풍수는 건물의 내부와 외부 요소 두 가지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 ‘펭수이 큐어’는 우선 거주하는 내부 공간의 환경 정비에서 출발한다. 건물 내부의 공간적 위치의 작용력을 파악하는 이론 체계를 ‘공간방위론’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방위 풍수의 길흉을 파악하는 지식의 습득과 연습이 필요하다. 방위풍수의 이론체계는 그다지 어려운 게 아니다. ‘심화학습’을 통해 조금만 집중해서 반복해보면 내용의 요체를 자연스럽게 파악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최근 서구에서 유행하는 탄트라 불교 블랙분파(Black Hat Tantric Buddhis)의 풍수 이론은 전통적인 방위 풍수법을 쓰지 않고 실제 방위와는 무관한 자의적인 방위법을 일방적으로 적용하여 응용하므로 납득하기 힘든 일이다. 팔괘(八卦: Ba Gua)를 응용하여 해당 영역에 기운을 일방적으로 정의하고 사물을 배치하는 이론은 “쉽게 배울 수 있다는 것” 이외에는 특별한 가치를 부여하기 어렵다. 이것은 진정한 풍수를 표현하기에 적절치 않은 서양의 언어로도 전달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양택풍수에서는 8방위로 길흉을 추리한다

양택(陽宅)은 패철4선(佩鐵四線)으로 보는데 이것은 24방위(方位)로 되어 있으나, 기종팔방(氣從八方)이라 하여 8방위(方位)로 길흉을 보게 된다. 8방위는 동서남북(東西南北) 4방위와 동북(東北), 동남(東南), 서북(西北), 서남(西南)의 4방위로 구성된다.

8개의 각 방위에는 팔괘(八卦)와 오행(五行)이 배속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다.
   팔괘(八卦)        오행(五行)         8方位
     진(震)          목木          東
     손(巽)          목木         東南
     감(坎)          수水          北
     리(離)          화火          南
     건(乾)          금金         西北
     태(兌)          금金          西
     간(艮)          토土         東北
     곤(坤)          토土         西南


풍수에서 사람의 명(命)은 8가지로 구분 된다

사람마다 각자 정해지는 본명괘(本命卦)는 건(乾), 태(兌), 리(離), 진(震), 손(巽), 감(坎), 간(艮), 곤(坤)의 8종류로 나누어진다. 본명괘란 그 사람이 태어날 때부터 지니고 있는 자성감응(磁性感應)의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키워드라 할 수 있다.

하나의 본명괘가 정해지면 이는 다시 동사명(東四命)과 서사명(西四命)으로 양분된다. 본명괘가 진(震), 감(坎), 손(巽), 리(離)에 해당되면 ‘동사명’이 되고, 곤(坤), 건(乾), 간(艮), 태(兌)에 해당되면 ‘서사명’이 된다.

양택(陽宅)은 먼저 본명괘(本命卦)를 아는 것부터 시작된다. 본명괘를 정해야 자신이 동사명(東四命)인지, 서사명(西四命)인지를 알 수 있고 동서남북(東西南北) 어느 방향이 길하고 흉한지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 아래 생년 별로 구분한 “본명괘를 구하는 조견표”를 살펴 남녀별로 자신의 명(命)을 찾으면 된다.

남녀별 본명괘표

양택술(陽宅術)에서는 원칙적으로 1년을 그 해의 소한(小寒)에서부터 이듬해 소한(小寒) 직전까지로 구분하지만, 어느 해의 경우에는 소한점이 기점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아래 표의 “생년월일과 태어난 시간(양력)”을 잘 살펴 구분해야 한다.

생년월일과  태어난 시간   ~ 남녀 본명괘        
1930년 1월  6일   10:03 ~ 남:태, 녀:간            
1931년 1월  6일   15:56 ~ 남:건, 녀:리          
1931년 12월 28일  04:30 ~ 남:곤, 녀:감          
1933년 1월  6일   03:24 ~ 남:손, 녀:곤          
1934년 1월  6일   09:17 ~ 남:진, 녀:진        
1934년 12월 22일  21:50 ~ 남:곤, 녀:손        
1936년 1월  6일   20:47 ~ 남:감, 녀:간          
1937년 1월  6일   02:44 ~ 남:리, 녀:건          
1938년 1월  6일   08:32 ~ 남:간, 녀:태          
1939년 1월  6일   14:28 ~ 남:태, 녀:간        
1940년 1월  7일   03:06 ~ 남:건, 녀:리      
1941년 1월  6일   02:04 ~ 남:곤, 녀:감        
1942년 1월  6일   08:03 ~ 남:손, 녀:곤        
1942년 12월 22일  20:40 ~ 남:진, 녀:진        
1944년 1월  6일   19:40 ~ 남:곤, 녀:손        
1945년 1월  6일   01:35 ~ 남:감, 녀:간        
1946년 1월  1일   14:04 ~ 남:리, 녀:건        
1947년 1월  6일   13:11 ~ 남:간, 녀:태        
1948년 1월  6일   19:01 ~ 남:태, 녀:간          
1949년 1월  6일   00:42 ~ 남:건, 녀:리        
1950년 1월  6일   06:39 ~ 남:곤, 녀:감      
1950년 12월 27일  19:14 ~ 남:손, 녀:곤        
1952년 1월  6일   18:10 ~ 남:진, 녀:진          
1953년 1월  6일   00:03 ~ 남:곤, 녀:손          
1953년 12월 27일  12:32 ~ 남:감, 녀:간          
1955년 1월  6일   11:36 ~ 남:리, 녀:건        
1956년 1월  6일   17:31 ~ 남:간, 녀:태          
1957년 1월  5일   23:11 ~ 남:태, 녀:간          
1958년 1월  6일   04:05 ~ 남:건, 녀:리          
1959년 1월  6일   10:59 ~ 남:곤, 녀:감          
1960년 1월  6일   16:43 ~ 남:손, 녀:곤        
1961년 1월  5일   22:43 ~ 남:진, 녀:진
1961년 12월 27일  11:20 ~ 남:곤, 녀:손
1963년 1월  6일   10:27 ~ 남:감, 녀:간
1964년 1월  6일   16:22 ~ 남:리, 녀:건
1965년 1월  5일   22:02 ~ 남:간, 녀:태
1966년 1월  6일   03:55 ~ 남:태, 녀:간
1967년 1월  6일   09:48 ~ 남:건, 녀:리
1968년 1월  6일   15:26 ~ 남:곤, 녀:감
1969년 1월  5일   21:17 ~ 남:손, 녀:곤
1970년 1월  1일   09:44 ~ 남:진, 녀:진
1971년 1월  6일   08:45 ~ 남:곤, 녀:손
1972년 1월  6일   14:43 ~ 남:감, 녀:간
1973년 1월  1일   03:13 ~ 남:리, 녀:건
1974년 1월  6일   02:20 ~ 남:간, 녀:태
1975년 1월  6일   08:18 ~ 남:태, 녀:간
1976년 1월  6일   13:59 ~ 남:건, 녀:리
1977년 1월  5일   19:51 ~ 남:곤, 녀:감
1978년 1월  6일   01:44 ~ 남:손, 녀:곤
1979년 1월  6일   07:32 ~ 남:진, 녀:진
1980년 1월  6일   13:29 ~ 남:곤, 녀:손
1980년 12월 22일  01:56 ~ 남:감, 녀:간
1982년 1월  6일   01:03 ~ 남:리, 녀:건
1983년 1월  6일   06:59 ~ 남:간, 녀:태
1984년 1월  6일   12:42 ~ 남:태, 녀:간
1985년 1월  5일   18:36 ~ 남:건, 녀:리
1986년 1월  6일   00:21 ~ 남:곤, 녀:감
1987년 1월  6일   06:09 ~ 남:손, 녀:곤
1988년 1월  6일   11:56 ~ 남:진, 녀:진
1989년 1월  1일   00:22 ~ 남:곤, 녀:손
1990년 1월  5일   23:33 ~ 남:감, 녀:간
1991년 1월  6일   05:22 ~ 남:리, 녀:건

※ 예컨대 1960년 1월 6일 16시 43분에서 1961년 1월 5일 22시 43분 이전에 태어난 사람이라면 남자는 손(巽), 여  자는 곤(坤)이 본명괘가 된다.
※ 1965년 8월생의 본명괘는 남자일 경우‘간(艮)명’,  여자일 경우에는 ‘태(兌)명’이 된다.
※ 1960년생의 남자는 손(巽)명이므로 동사명(東四命)이 되고 여자는 곤(坤)명이므로 서사명(西四命)이 된다.
※ 1965년생의 남자는 간(艮)명이므로 ‘서사명’에 해당되고, 여자는 태(兌)명으로 마찬가지 ‘서사명’이 된다.

본명괘를 알면 방위의 길흉을 알 수 있다

‘동사명’에 속하면 동, 서, 남, 북, 동북, 동남, 서남, 서북의 8방위 중 동(東), 동남(東南), 남(南), 북(北)이 길하고 나머지 4방위가 흉하다. ‘서사명’에 속하면 대체로 서(西), 서남(西南), 서북(西北), 동북(東北)이 길하며 나머지 4방위가 흉하다.

동사명과 서사명으로 양분되는 동기(東氣)와 서기(西氣), 이 두 체계는 서로 대립, 적대하는 개념이다. 물과 불의 관계처럼  서로 용납할 수 없는 사이다. 동사명의 길방에 해당되는 영역은 서사명에는 예외 없이 흉방으로 구분된다.  

아래 동사명의 길흉 방위반(東四命吉凶方位盤)과 서사명의 길흉 방위반(西四命吉凶方位盤)을 살펴보면 각 본명괘에 따른 길방과 흉방의 구분이 확연해진다.
※ ‘방위반’의 중심 원에 표기된 팔괘가 해당 본명괘
☐ 방위 길흉 측정법(方位吉凶測定法)

1. 태극(太極), 중심점을 찾는다. 평면도의 모서리와 모서리를 잇는 선의 교차점이 태극이 된다.

※ ‘중심점’은 집 전체에서 구하는 대태극과 독립된 방으로부터 구하는 소태극의 2가지로 나누어진다. 작용은 대태극이 강하고 소태극이 비교적 약하다. 그러나 사용하는 시간과 빈도에 따라 소태극의 작용력이 강해질 수도 있다. 이를테면 현관 입구의 방향과 위치가 흉방이라 해도 독립된 사무실 입구의 방향과 위치가 길방이면 그곳을 출입하는 횟수가 빈번하거나 그 방에서 학습이나 일, 작업하는 시간이 길 경우, 그곳의 자장이 영향을 강하게 받으므로 전화위복이 된다.

2. 집의 중심점에서 나침반을 남북의 선을 긋고 45도씩의 8방위를 정한 후, 각자의 명괘(命卦)에 따른 길흉의 방위를 구분, 표시한 연후 대문, 안방, 주방의 ‘양택 3요’의 방위 길흉을 체크하고 중요 사물을 길방의 영역으로 배치한다. 침실에서는 침대(길방), 주방에서는 가스레인지(흉방), 서재에서는 책상(길방)을 각각 적소에 위치시킨다.

※ 양택 풍수는 건물의 내부와 외부 요소 두 가지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 이 책은 우선 거주하는 내부 공간의 환경 정비에서 출발한다. 건물 내부의 공간적 위치의 작용력을 파악하는 이론 체계를 ‘공간방위론’이라고 하는데 ‘양택 3요’란 건물 내부의 공간방위론 일종이다. 주택의 내부 풍수를 판단할 때 우선적으로 관찰하는 중요한 세 가지 요소인 문주조(門主灶), 즉 대문과 안방, 주방의 3요소를 가리켜 ‘양택 3요’라 한다. 다시 말해 출입문, 주인의 침실, 주방은 양택 감정상 중요한 판단요소다. 출입문(8종), 침실(8종)의 조합에 따라, 주방(8종)을 가미하면 모두 512종의 조합이 나온다. 이들의 조합에는 각각의 길흉과 특성이 달리 나타난다.

※ 방위는 엄밀히 방향과 위치의 2가지로 나누어진다. 문 방향(현관의 방향)과 문 위치(집의 중심점에서 본 현관 위치), 책상의 방향과 책상의 위치, 침대의 방향(머리 방향)과 침대의 위치, 가스레인지의 방향(손잡이 방향)과 가스레인지의 위치 등으로 주의하기 바란다. 주요 사물의 방향과 위치 모두가 길방의 영역에 배속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배치법이라 할 수 있다.

☐ 방위 풍수 실천(方位風水實戰)

1. 길방에는 전자파, 음파, 광파 등을 내는 물건을 둔다.

※ 컴퓨터나 TV 등 전자제품은 꽤 많은 전자파를 내는데 이는 자장에 반응하여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의 체내 자장에 영향을 미친다. 오디오나 전자레인지, 전자조리기 등 자장을 높이는 제품은 길방에 놓는 것이 좋다.

2. 흉방에는 연소하거나 끓이는 것을 놓는다.

※ 가스 레인지는 공기 중의 산소를 태울 뿐만 아니라 환풍기에 의해 옥외로 기를 배출하는 바 흉방에 놓는 것이 좋다. 다만 이때 가스레인지의 손잡이 방향은 길방으로 향하게 한다.

3. 길방에는 책상, 침실, 전자제품 등을 배치하고, 흉방에는 수납장, 화장실, 욕실 등을 적용한다. 방향과 위치 모두를 적용한다.

방위도를 보고 일단 양택풍수에서 방위를 동, 서, 남, 북, 동북, 동남, 서북, 서남의 8방위로 구분한다는 점과 팔괘(八卦)의 방위 - 동쪽은 진(震)방, 서쪽은 태(兌)방, 남쪽은 리(離)방, 북쪽은 감(坎)방, 동북은 간(艮)방, 동남은 손(巽)방, 서북은 건(乾)방, 서남은 곤(坤)방 - 를 익히도록 연습해본다. 8방위는 지구의 자력선을 기준으로 360도를 각 45도씩 나눈 것이다.

주택의 평면도를 그리고 평면도 위에 위의 투명한 “양택풍수 방위도”의 형판을 올려놓고 보면 길흉방의 영역 구분과 복가(福家) 및 흉가(凶家) 배치의 구분이 선명해진다.
喜喜樂樂, 신선당의 자리 배치

8방위의 팔괘(八卦)에 배속된 육친(六親)의 상황을 살펴보면 젊고 아름다운 여인의 자리가 둘 있다. 하나는 남방(離)의 ‘중녀화(中女火)’의 자리고 나머지는 서방(兌)의 ‘소녀금(少女金)’의 자리다. 남쪽이나 서쪽으로 출입구가 위치하고 서북방(乾)의 영역에 CEO의 자리가 배치되면 노부금(老父)가 중녀(中女), 혹은 소녀(少女)와 만난 격이 되어 호화스러운 사업발전과 인생사가 펼쳐진다.

이때 서쪽의 출입구와 서북쪽의 CEO 자리 조합은 서사택(西舍宅)의 배합(配合)으로 최적이다. 한마디로 예쁜 소녀가 노인에게 구애(求愛)하는 격. 가옥(家屋)에서도 서쪽 대문에 서북쪽의 기두(起頭:주 건물의 중심점)는 `신선당(神仙堂)`으로 묘사된다. 재물이 풍부해지고 또한 호사스러운 생활을 하게 된다. 신선당의 단점이라면 많이 벌어 다 쓰게 되고 모이는 것이 없으므로 “부(富)의 축적” 면에서는 모자란 감이 있다.

한편 남쪽 출입구에 서북쪽의 CEO 자리는 불배합(不配合)의 복가(福家) 배치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4년 내지 9년까지는 사업번창이 가능하다고 본다. 젊은 여인의 화기(火氣)로는 노련한 노인의 금기(金氣)를 제압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9년이 지나도 CEO의 자리를 북쪽이나 동쪽, 동남의 영역으로 옮기지 않으면 일조(一朝) 파산의 위기를 면치 못한다. 화극금(火克金)의 이치로 화병(火病), 중풍 등의 질환이 우려된다.

금극목(金克木)의 자리 배치가 가장 불리하다

서쪽 문의 동쪽 책상이나 동쪽 문의 서쪽 책상 배치는 반드시 피해야 할 구도다. 업종을 불문하고 오행(五行)상 출입구를 극하는 것은 망하는 이치가 존재한다. 고서(古書)에 금극목(金克木)은 이금치사(以金致死)라 했다. 쇠붙이로 인해 죽음을 당한다는 의미니 오늘날에는 교통사고를 특히 조심해야 한다. 서북향의 출입구에 동쪽 책상이나 동쪽 출입구에 서북향의 책상 자리도 모두 금극목(金克木)의 불리한 배치가 된다.

한편 오행이 상생(相生)되는 구도라도 동서사택이 불배합(不配合)되면 매사불성의 자리가 된다. 가령 서북쪽(金)의 출입구에 북쪽(水) CEO 책상이 놓이면 일견 금생수(金生水)의 상생 구도로 길할 것 같으나 그렇지 않다. 신장(腎臟)이 실증(實症)되어 공팥에 병을 얻기 쉽다. 기업의 규모가 크거나 대기업을 지향한다면 건물의 현관이나 사무실의 출입문은 서북향으로 위치시키는 게 정석이다. 팔괘에는 건(乾:9), 태(兌:4), 리(離:2), 진(震:3), 손(巽:8), 감(坎:1), 간(艮:5), 곤(坤:10)식으로 숫자가 배속되어 있다.

“출입문은 양문(陽門)이어야 길하다”는 말이 있는데 이것은 문의 위치가 양수(陽數:홀수)에 해당하는 영역이라야 더 크게 발전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9번(서북), 5번(동북), 3번(동쪽), 1번(북쪽)의 자리에 위치한 대문이나 출입구가 일단 원대한 꿈을 담는다.

반대로 10번(서남), 8번(동남), 4번(서쪽), 2번(남쪽)의 자리에 위치한 출입구는 배합사택의 복가(福家) 배치일 경우에도 현상이 잘 유지되거나 “호황을 누린다”는 정도로만 평가하게 된다. 따라서 사업이 일정 궤도에 오르면 출입구를 양문(陽門)으로 두는 것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택지와 건물에서 적당히 돌출된 영역은 복(福)을 부른다

택지의 불규칙성이 긍정적일 수도 있다. 전반적으로 택지나 건물이 방정(方正)한 상태에서 적당하게 돌출된 영역이 있으면 길격형상(吉格形象)으로 간주한다. 반면 택지나 건물이 불규칙한 모양새로 심하게 과다 돌출되거나 요결요함(凹缺凹陷)하면 흉격형상(凶格形象)이 된다.

적당하게 돌출되었다는 것은 측면 전체의 길이에서 반보다 적은 부분이 튀어나왔을 경우에 해당한다. 물론 이때 과다하게 돌출한 경우라면 길상(吉相)이 될 수 없다. 반대로 측면 전체 길이의 반보다 많은 부분이 튀어 나온 모양이라면 나머지 부분이 함몰된 영역이 되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택지나 건물의 돌출요함(突出凹陷)된 모양을 두고 이를 방위(方位)별로 영역을 구분하여 길흉을 가늠하는 스킬이 있는데 “팔괘방위(八卦方位)의 길흉화복(吉凶禍福)”에 따라 판단하는 식이다.


팔괘방위길흉화복(八卦方位吉凶禍福)

방위(方位)   궁위오행(宮位五行)     돌출요함(突出凹陷)에 따른 길흉화복(吉凶禍福)

동쪽:震진      長男木                 [吉格:돌출] 재산이 증가하여 부자가 되고 장남이 창성해 짐
                                      [凶格:함몰] 가업이 부진하며 장남이 쇠퇴하여 우환이 따름

서쪽:兌태      少女金                 [吉格:돌출] 부귀를 동시에 이루며 막내 딸이 우수하고 발전
                                      [凶格:함몰] 전쟁이나 사고로 인한 객사와 막내 딸의 부진

남쪽:離리      中女火                 [吉格:돌출] 귀인의 도움으로 성공하고 고시 합격 및 승급
                                      [凶格:함몰] 관재송사 및 여성의 정조에 장애 구설이 발생

북쪽:坎감      中男水                 [吉格:돌출] 가업을 일으키고 부자가 됨. 가운데 아들이 창성
                                      [凶格:함몰] 재물이 흩어짐. 가운데 아들에게 사고 발생

동남:巽손      長女木                 [吉格:돌출] 부귀를 동시에 이루며 장녀가 총명하고 창성함
                                      [凶格:함몰] 매사가 정체되고 장녀가 쇠퇴하여 우환이 따름

남서:坤곤      老母土                 [吉格:돌출] 안주인의 권한이 강하고 재산을 모으며 잘 지킴
                                      [凶格:함몰] 부인이 병약하고 부녀가 음란하여 문제를 야기

서북:乾건      老父金                 [吉格:돌출] 호주의 권한이 강하고 무병 장수하여 안정됨
                                      [凶格:함몰] 화를 부르고 재물이 산실되며 호주의 단명 암시

북동:艮간      少男土                 [吉格:돌출] 부귀가 왕성해지며 막내 아들이 발전하고 출세
                                      [凶格:함몰] 불구의 자손을 두게 되며 가난해지고 관재 발생


가택구성법(家宅九星法)은  주요부서와 중요 사물 배치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양택(陽宅) 풍수에는 팔택파(八宅派), 비성파(飛星派), 현공파(玄空派) 등의 많은 유파가 존재한다. 최근에는 풍수로도 “언제쯤 길흉이 나타날지 예측이 가능하다”는 점과 “시공(時空) 개념의 유연성”에서 우위를 보인다는 ‘현공풍수(Xuan Kong Fengshui)’가 각광받는 추세를 보이기도 한다. 동양 술법(術法)의 세계에는 비단 풍수 뿐만아니라 팔자술(八字術)이나 점복(占卜)류에서도 많은 문파와 유파들이 존재하는 데 이들을 비교하여 우열을 가늠하거나 정오(正誤)를 분별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따라서 문파의 정통성과 역사 그리고 세(勢)를 보아 취사선택해볼 일이고 각 파의 이론을 실제 현상에 적용해서 확연히 실감되는 부분에 한해서만 원칙을 세워가면 된다고 본다. 필자의 경우는 대체로 팔택파의 이론을 중심으로 어느 유파에 지우치지 않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독자들, 이번 호에서는 다소 생소한 어휘가 나열될지라도 조금만 집중해서 읽기를 반복해보기 바란다. 그리하면 어렵지 않게  “가택구성(家宅九星)의 길흉화복”에 대한 이해를 구할 수 있을 것이다.

‘가택구성법’이란 건물이나 사무실의 중앙에 패철을 정반정침하고 건물의 중량지처(重量之處:무게중심) 혹은 현관문(출입구)을 측정한 방위를 기두(起頭)로 정하고, 기두를 기본괘로 하여 CEO의 사무실이나 이사실, 회의실, 주요 부서 등의 위치가 길한지, 흉한지를 살피는 법을 말한다. 또한 금고 등의 중요한 사물도 가택구성법에 따른 길방의 영역에 놓아두어야 탈이 없으며, 화장실, 하수구, 창고, 쓰레기장, 축사, 헛간, 다용도실, 주차장 등은 흉방의 영역에 배치되어야 길하다는 것이다. 이는 집의 경우에도 문주조(門主灶:대문, 안방, 부엌)의 중요 장소는 길방에 그 외 욕실, 창고, 주차장 등은 흉방에 두어야 무난하다는 논리와 마찬가지다.

가택 구성법의 운용법은 산지선동(上指先動)하여 일상생기(一上生氣), 이중오귀(二中五鬼), 삼하연년(三下延年), 사중육살(四中六殺), 오상화해(五上禍害), 육중천을(六中天乙), 칠하절명(七下絶命), 팔중보필(八中輔弼) 순으로 변효(變爻), 변괘(變卦)하다가 해당 방위의 괘가 되면 멈추고 그곳이 구성 중 어디에 속하는지를 보고 길흉화복을 판단하면 된다.
1. 가택구성법의 조견표를 활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팔괘의 방향은 감(坎:북쪽), 간(艮:동북), 진(震:동쪽), 손(巽:남동), 리(離:남쪽), 곤(坤:서남), 태(兌:서쪽), 건(乾:북서)로 나눠지며 팔괘에 배속된 오행은 감(水), 간(土), 진(木), 손(木), 리(火), 곤(土), 태(金), 건(金)으로 나누어진다.
건물에서의 기두방위(起頭方位)는 현관문으로 정하고 사무실에서는 출입구를 ‘기두’로 정한다. 건물에서는 CEO의 사무실이 배치된 방위를 중시하고 사무실 내에서는 책상이 놓인 영역의 구성(九星) 의미를 살펴 길흉을 판단한다.

2. 구성(九星)의 길흉화복 의미는 다음과 같다.

- 생기(生氣) : 가운(家運)이 번창하고, 속발부귀(速發富貴)한다.
- 오귀(五鬼) : 다병(多病) 단명(短命)하고, 흉사(凶事)가 끊이지 않는다.
- 연년(延年) : 승진(昇進), 득재(得財)하고, 자손이 번창하며 건강장수한다.
- 육살(六殺) : 재물이 흩어지며 관재(官災)가 많아 형옥(刑獄)을 우려된다.
- 화해(禍害) : 다재(多災)하여 재앙이 많고 손재(損財)한다.
- 천을(天乙) : 부귀다복(富貴多福)하고 건강 장수한다.
- 절명(絶命) : 다병(多病) 단명(短命)하고, 온갖 재앙이 끊임이 없다.
- 보필(輔弼) : 경사중중(慶事重重)하며, 모든 일이 순탄하다.

생기(生氣), 천을(天乙), 연년(延年), 보필(輔弼)은 길한 방위로 동사택(東四宅: 坎,震,巽,離)이면 모두 동사택으로 배치되었고, 서사택(西四宅: 乾,坤,艮,兌)이면 모두 서사택으로 배치되어 있다. 길한 방위에 주택의 경우 대문, 안방, 주방, 현관문, 자녀방, 공부방, 수도, 우물, 거실 등이 배치되어야 하고, 사무실의 경우는 출입문, 사장실, 이사실, 사원석, 금고, 회의실, 경리석 등 회사의 주요부서가 배치되어야 길하다. 더럽고 부정한 것은 흉한 방위에 있어야 악기(惡氣)가 누세(漏洗)되어 제살방재(制殺防災)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宮合에 적용되는 ‘남녀 風水’가 있다

풍수의 방위 이론은 남녀 간의 궁합(宮合)에도 적용되는 데 특히 “부부간에는 ‘동사명’은 ‘동사명’인 상대가 좋으며 ‘서사명’은 ‘서사명’끼리가 아니면 별로 좋지 않다”고 기술되어 있는 양택풍수의 교재들이 많다. 팔자술(八字術)을 운용하는 필자의 입장에서는 얼핏 남녀간의 궁합을 이처럼 쉽게 다룰 수 있는가 하는 의구심이 들기도 하는 한편 부부는 같은 집에 살고 매일 같이 식사하며 같은 침대를 쓰게 되므로 주택의 풍수에 관해서는 같은 범주 속에서 생활하기에 타당성이 있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위 “가택구성법 조견표(家宅九星法 早見表)”에 의해 남녀 각각이 본명괘를 대입하면 궁합상성이 도출된다.

본명괘에 의한 남녀의 궁합상성(宮合相星)

1. 생기혼(生氣婚) : 활동력, 정력 모두 왕성하게 되고 리더십과 지도력을 발휘하게 됨.
                    성적 욕구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2. 오귀혼(五鬼婚) : 마음이 초조하고 트집이나 화풀이로 인간관계를 망치게 된다.
                    친척이나 은사와도 사이가 나빠진다.
3. 연년혼(延年婚) : 인내심이 강해지고 안정되며 사물의 처리가 능숙해진다.
                    타인의 입장을 이해하며 인간관계가 원활해진다.
4. 육살혼(六殺婚) : 쓸데없는 감정에 사로잡혀 정신적으로 불안하며 불륜에 빠진다.
                    기대와 생각의 차이로 실수하며 신용을 잃는다.
5. 화해혼(禍害婚) : 자신감을 상실하며 능률이 오르지 않고 식욕이 감퇴한다.
                    피로가 쌓여 병이 나기 쉽고 소인배처럼 행동한다.
6. 천을혼(天乙婚) : 긴장 후에 완화, 고뇌 끝에 안락 식으로 생활이 안정된다.
                    위장 상태가 좋아지며 성실함으로 성과를 올린다.
7. 절명혼(絶命婚) : 신랄한 비방과 중상모략을 받아 사면초과에 빠진다.
                    정신적으로 혼란하고 분열증, 피해망상에 이른다.
8. 보필혼(輔弼婚) : 가정에 대한 책임감이 강해지며 경제적인 기반이 쌓인다.
                    성적 욕구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1. 깨끗해야 運도 따른다
2. 입구가 밝고 깨끗해야 한다
3. 건물 앞의 땅이 뒤의 땅보다 낮아야 발복한다
4. 明堂이 확 트여야 꿈을 실현한다
5. 좁은 곳을 통과하는 바람이 무섭다
6. 기(氣), 물은 좋은데 바람은 싫다
7. 돈을 상징하는 ‘물’, 물길의 흐름이 중요하다
8. ‘저기압권’ 건물, 운세 흔들린다
9. 도로 모이는 곳이 최고 吉地다
10. 물이 좋아야 돈 벌린다
11. 천장이 높아야 이상도 높다
12. “반듯한 두부形” 건물이 吉하다
13. 위험 요소는 거울로 반사한다
14. 좌우에 의지할 건물이 있으면 좋다
15. 天斬殺 있으면 運氣 막힌다
16. 넓고 밝은 계단은 운을 부른다
17. 이웃이 좋아야 내 運도 좋다
18. 전자파는 運의 천적이다
19. 뾰족한 모서리에 殺氣가 뭉친다
20. 고가도로 옆 창문은 막아라
21. 바깥쪽으로 열려야 운이 트인다
22. 넓은 앞마당은 돈을 부른다
23. 거울은 풍수의 보물이다
24. ‘剪刀口’ 빌딩은 빨리 팔아라
25. 건물은 산을 기대야한다
26. 은행장이 자리를 바꾼 이유는?
27. 水의 음식으로 비만을 치료한다
28. 공장은 언덕을 뒤로 두고 짓는다
29. 運 나쁠 때는 자리부터 바꿔라
30. 正方形 백화점에 고객 몰린다
31. 자동문은 에너지가 새나간다
32. 반듯한 땅에서 福 나온다
33. 부자 동네에서 부자 난다
34. 고급 바의 불빛은 온화하다
35. 꼭대기 층,  서북쪽이 吉하다
36. 권위는 구석자리에서 나온다
37. 문에서 멀리, 벽을 등져라
38. 책상 위에도 ‘팔괘’가 있다
39. 붉은색과 녹색이 富를 상징한다
40. 등 뒤의 컴퓨터는 흉기다
41. 북쪽 출입문•동쪽 카운터는 發福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