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춘이 지나 봄기운이 솟으면, 음양오행설에 따른 인테리어로 아이 방의 흉한 기운을 몰아내고 길한 기운을 들여놓자. 길한 기운이 가득한 곳이라면 잠깐을 쉬어도 몸에 활력이 생기며 그 만큼 건강하고 똑똑한 아이로 자랄 수 있기 때문이다. 봄을 맞이한 아이 방의 기분 좋은 풍수 인테리어.


똑똑하고 건강한 아이로 키우는 베이식 인테리어
아이 방을 어디에 두느냐는 길한 운을 받아들이는 기초이다. 사고력이 발달하고 의지가 강한 아이로 키우고 싶다면 북쪽에, 성실한 아이로 키우기 위해선 동쪽에, 사회성이 뛰어난 아이로 자라주길 바란다면 남동쪽에 아이 방을 두는 것이 좋다. 아침 햇살을 받을 수 있도록 동쪽으로 창이 나 있다면 금상첨화.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동쪽에 빨간색 소품을 둔다. 벽지는 흰색과 녹색 계열을 사용하고 그 위에 아이가 그린 그림을 붙여 둔다. 커튼은 노란색이나 꽃무늬가 있는 것을 고르고 침대 시트는 녹색 계열을 사용한다. 책상은 출입문을 등지지 않는 방향으로 두고 그 위의 책들은 세로로 깔끔하게 세워둔다. 아이 방이라고 해서 알록달록한 소품이 복잡하게 널려 있는 것은 기의 흐름을 산만하게 하므로 쓸모없는 물건은 바로 바로 치워두는 것이 운을 불러들인다.

아이의 재능을 키워 주는 인테리어
어학이나 음악적인 재능이 있는 아이로 키우고 싶다면 동쪽의 기를 받아들여 보자. 머리를 동쪽으로 향하게 하고 머리맡에 꽃이나 자명종 시계 등으로 장식한다. 동쪽에 빨간색 물건을 놓아두고, 창문에는 붉은 계열의 커튼을 사용해 에너지를 높인다. 창문이 없는 방이라면 스탠드를 하루 종일 켜두어 방안이 어둡지 않도록 신경 쓴다. 문학이나 그 외 예술 방면에 뛰어난 아이로 키우고자 한다면 남쪽 기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책상을 남쪽에 두고 그 곁에 관엽 식물을 둔다. 아이가 좋아하는 예술가의 그림 작품을 남동쪽에 걸어 두고, 금속 제품의 문구류를 주로 사용하게 한다.

말 잘 듣는 아이로 만드는 환경 꾸미기
우선 방에 복잡한 가구가 많을 경우 아이의 기가 산만해질 수 있다. 가구는 가급적 최소한으로 줄이고 검은색 가구는 피하는 것이 좋다. 가구나 소품은 세로줄 무늬나 흰색 바탕에 빨강이나 파랑 색상의 무늬가 있는 것, 나무 재질의 것을 사용한다. 벽지는 연한 녹색과 베이지, 흰색 등이 배합된 것으로 고르고 창가에 화분을 놓아두면 차분하고 성실한 성격으로 이끄는 역할을 한다. 방안에 아이가 하고 싶은 스포츠와 관련된 물건을 두면 아이의 재능을 이끌어 내는 동시에 그 방면으로 에너지를 집중시켜 산만함을 줄일 수 있다. 스트레스를 적절히 해소시키기 위해 벽면에 커다란 종이를 붙여 두어 마음껏 그림을 그려보게 하는 것도 말 잘 듣는 아이로 만드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옷장에 봄기운 받아들이기
겨울옷 중 가장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스웨터는 돌돌 말아 두는 것이 기본. 구김이 생기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서랍장 안을 훨씬 넓게 사용할 수 있다. 수납 공간이 여의치 않다면 누런 서류 봉투에 건조제와 함께 담아 봉한 후 옷장이 아닌 곳에 따로 보관할 수 있다. 옷걸이에 걸어 두는 경우라면 반으로 접어 홰에 걸어 둔다. 겨울옷을 비닐로 덮어두는 것은 금물. 모직코트는 옷걸이에 걸어두되 뒤집어서 걸어두면 더러워지지 않는다. 패딩 점퍼나 스키복의 경우는 옷걸이에 걸어두면 솜이나 털이 아래로 뭉치므로 접어서 쇼핑백이나 상자, 보자기 등에 싸서 무거운 것에 눌리지 않도록 보관한다. 모자는 장난감용 고무공에 여러 겹 포개두면 좋다. 옷을 잘 보관하는 것 못지 않게 옷장 안을 말끔히 청소하는 것도 중요하다. 계절별로 옷을 정리할 때만이라도 옷걸이와 손잡이 등을 벤젠을 묻힌 천으로 닦고 한 시간 정도 문을 열어 두어 통풍을 시킨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