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식코너/한국의 시와 시조

학문의 길

오월의장미 장미 2008. 2. 24. 14:39

 

 

 

 

 

 

 

 

잘가노라 닫지 말며 못가노라 쉬지말라
부디 긋지 말고 촌음을 아껴스라
가다가 중지곳 하면 아니감만 못하리라

긋지 : 그치지
寸陰 : 짧은 시간
中止곳 : 곳은 강조사

 

태산이 높다하되 하늘아래 뫼이로다
오르고 또 오르면 못 오를리 없건마는
사람이 제 아니 오르고 뫼만 높다 하더라
- 양사언 -

泰山

 

말씀을 가리어 내면 겨룰일이 바이 없고
무일을 좋아하면 탐욕인들 있을소냐
일호나 밖에 일하면 헛공분인가 하노라
- 낭원군 -

無逸 : 편안함을 바라지 않는 마음
貪慾 : 헛된 욕심
一毫 : 조금이라도

 

어저 내말 듣소 군자 공부 다한후에
사생을 뉘알관대 노소로 다툴손가
그래도 여일이 있으니 학문이나 하리라

君子, 死生, 老少
餘日
學文

 

언충신 행독경하고 그른일 아니하면
내몸에 해 없고 남 아니 무이나니
행하고 여력이 있거든 학문 좇아 하리라
- 成石璘 -

言忠信 行篤敬 : 언행이 성실함을 이름

무이나니 : 미워하다
行, 餘力

 

내해 좋다하고 남 슬흔일 하지 말며
남이 한다하고 의 아니면 좇지 말지니
우리는 천성을 지키어 생긴대로 하리라
- 변계량 -


天性

 

명경에 티 끼거든 값주고 닦을 줄
아희 어른 없이 다 미처 알건마는
값없이 닦을 명덕을 닦을줄을 모르나다

明鏡 : 구리제품의 거울을 말함
明德

 





 





 

 

 

 

 

'유식코너 > 한국의 시와 시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부모님 은혜  (0) 2008.05.15
가족의 길  (0) 2008.02.24
시인의 산수도  (0) 2008.02.24
그래도 일편단심  (0) 2008.02.24
원과 한의 연가  (0) 2008.02.24